개발 썸네일형 리스트형 [Python] system error: 9 Bad file descriptor python에서 mysql 통신시 발생하는 에러 입니다. mysql injection을 피하기 위해 %s을 사용할때 발생했는데요. 해결책은 콤마 입니다. # error 발생 cmd = "select * from test where name = %s" cursor.execute(cmd, (result)) cmd = "select * from test where name = %s" # ,추가 cursor.execute(cmd, (result,)) 더보기 [Typescript] Module '"react-router-dom"' has no exported member 'useHistory'. react(ts)에서 router로 페이지를 이동시키려 할때 useHistory를 사용하려하니 위 경고문이 떴습니다. 해결책은 useNavigate 사용입니다 import { useNavigate } from 'react-router-dom'; const navigate = useNavigate(); # useEffect안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useEffect(() => { navigate('/home'); },[]) 이상입니다 더보기 [Typescript] Object is of type 'unknown' ts 사용중 위 에러가 뜨면 type지정을 통해 해결 가능합니다. react에서 useSelector를 사용하는 경우를 보겠습니다. # error 발생 const todos = useSelector(state => state.user); # useSelector 타입 지정 const todos = useSelector(state => state.user); 이상입니다 더보기 [python] background process in python - (1) terminal이 닫혀도 코드가 실행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? node에서는 pm2를 사용합니다. 그런데 python에서는 process manager가 없더라구요. 그래서 아래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# code에 interval or 실행 조건을 줍니다 sleep(100) threading.Timer(5, printhello).start() # python script 실행시 &을 붙여줍니다 python 파일명 & # 종료하는 법 ps -ef | grep 파일명.py kill -9 {pid} 더보기 [Next.js] pm2로 next.js 배포하기 next.js는 아래 방식으로 운용됩니다. # 개발 모드 next dev # 배포 모드 next build next start 배포시 'next start' command를 쳐야하는데, pm2로 해당 command를 어떻게 칠까요? # package.json ... "scripts":{ "start" : "next start" } ... # pm2 command pm2 start npm --name "app name" -- start 이상입니다 더보기 type concat typescript에서 가장 번거로운건 매개변수별 타입을 정해주는 것입니다. 개인적으로 공통 타입을 만들어 놓고 사용하는 것을 즐기는데요. 그럼 타입끼리 합쳐 새로운 타입을 생성하는건 어떻게 할까요? type a = {a: number} type b = {b: number} type c = a & b // c = { // a: number, // b: number // } 이상입니다 더보기 [Cookie] set-cookie not working 응답으로 set-cookie와도 브라우저에 쿠키가 설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. 이는 withCredentials 때문입니다. 1) 요청 헤더에 withCredentials = true로 해줘야합니다. 2) 응답 헤더에 withCredentials = true로 해줘야합니다. 이상입니다 더보기 [개발] origin, ip, site 삼형제 cors이슈는 웹개발자의 숙적입니다. 빨간색 글씨로 cors 에러를 발생시키는건 정말 화나는데요. 오늘은 origin, ip, site 차이점을 확인하겠습니다. origin이란 https:www.naver.com:3000 scheme: https host name: www.naver.com port: 3000 origin은 scheme+host+port 조합입니다. 같은 사이트여도 포트가 다르면 cors 이슈가 발생하게 되죠. ip란 internet protocol의 줄임말로,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(컴퓨터, 서버, 스마트폰 등)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장비에게 부여되는 고유 주소 1231.123.123.123, 23.23.1.2.등 숫자로 이뤄진 host name으로 보시면 될듯합니다 .. 더보기 이전 1 ··· 6 7 8 9 10 11 12 ··· 18 다음